운전면허를 재발급받거나 갱신하려 할 때, ‘도대체 어디서 면허를 발급받았는지’ 기억이 나지 않으신가요? 경찰서였는지, 운전면허시험장이었는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발급기관을 손쉽게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온라인에서 운전면허 발급기관을 정확히 확인하는 5가지 팁과 주의사항을 안내합니다.
1. e‑Fine(이파인)에서 면허 발급기관 확인
경찰청 교통민원24 ‘이파인’에 로그인하면, 운전면허 정보 전체가 표시됩니다. 여기에는 면허번호, 면허 취득일, 그리고 발급기관(운전면허시험장 또는 경찰청 등) 정보가 함께 나와 있어 본인 면허가 어디에서 발급되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이용
도로교통공단의 ‘안전운전 통합민원’ 사이트에서도 ‘운전면허 정보조회’ 메뉴를 통해 면허증 진위 확인과 함께 발급기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시험장 발급 여부, 갱신 기록 등도 함께 조회되므로 보다 상세한 정보가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3. 재발급 시 발급기관 주의사항
면허증을 재발급한 경우, 새 면허증에는 재발급을 진행한 기관이 새로 기재됩니다. 즉, 최초 발급처와는 다를 수 있으므로 과거 기록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이파인’이나 ‘도로교통공단’에서 처음 발급기관을 따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모바일 운전면허증(IC) 내 발급처 정보
2025년 현재 IC 기반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발급받는 경우에도, 해당 앱 내에서 발급기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급 신청 당시 지정한 시험장 또는 경찰서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니, 앱 내 진위 확인 화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5. 조회 전 준비사항과 유의점
- 📌 인증서 필요: 이파인, 도로교통공단 모두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 PASS 등을 요구합니다.
- 📌 모바일에서도 가능: 두 서비스 모두 모바일 웹에서 로그인 및 조회가 가능합니다.
- 📌 제출용 활용 가능: 발급기관 정보는 해외 운전면허 제출, 보험청구, 면허 진위확인 등에도 사용됩니다.
마무리 요약
운전면허를 어디서 발급받았는지 모를 때는 ‘이파인’ 또는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에서 로그인만 하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발급을 자주 받으신 분이라면 특히 온라인 정보로 발급처를 체크해두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모르고 지나치기 쉬운 면허 발급처 정보, 지금 확인해보세요!
댓글
댓글 쓰기